당구 계산법 이것만 알면 나도 프로
1. 당구 기본 규칙
2. 당구 기본 원리
3. 당구 계산법
여러분은 이런 이야기 들어 보셨나요? ‘당구와 골프는 많이 칠수록 잘 칠 수밖에 없다’라는 이야기! 물론 무엇이든 많은 경험이 쌓여야 잘 하는 것은 맞지만, 그래도 당구에 욕심이 있으신 분이라면 당구 계산법으로 얼른 실력이 향상되길 기대하실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것만 알면 누구나 프로처럼 당구를 칠 수 있는 당구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당구 기본 규칙
당구란 당구대 위에서 흰 공과 빨간 공을 각자의 큐로 쳐서 점수를 내는 스포츠입니다.
당구의 경기 방법은 여러 종류가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3구와 4구를 선호하는 편입니다. 이 중 3구는 3쿠션이라고도 하며, 이는 수구(치는 공)가 제1적구(맞는 공)와 제2적구를 모두 맞히기 전에 3번 이상 당구대의 쿠션을 맞추어야 점수가 인정되는 게임을 말합니다.
간단한 예시와 함께 설명하자면 수구가 제1적구를 맞힌 후 쿠션에 3번 접촉한 후 제2적구를 맞혀도, 수구가 쿠션에 1번 접촉한 후 제1적구를 맞히고 다시 쿠션에 2번 접촉한 후 제2적구를 맞혀도 점수는 똑같이 산정되는 것입니다. 즉, 수구가 쿠션이나 제1적구 중 어떤 것에 먼저 닿느냐는 순서는 선택 가능하며, 제2적구에 도달하기 전까지 쿠션에 3번 이상 닿는 것이 중요한 게임입니다. 국제 경기에서는 총 40점에 먼저 도달하는 선수가 승리하게 됩니다.
2. 당구 기본 원리
당구를 처음 배우면 가장 헷갈리고 이해가 가지 않는 것이 바로 공의 움직임인 것 같습니다. 저 또한 당구를 배울 때 감을 익히는데 한참의 시간을 썼는데요. 꼭 알고 있어야 할 당구의 기본 원리는 모든 공의 진행 각도는 90도를 이룬다는 것입니다. 수구가 들어가는 각도를 입사각, 그리고 쿠션에 맞는 수구가 진행하는 각도를 반사각이라고 가정했을 때 수구의 정중앙을 때려 공이 쿠션에 부딪히면, 부딪힌 지점에서 반사각이 반대로 90도만큼 벌어져 해당 방향으로 공이 진행되는 것입니다. 글로 읽었을 때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으나 직접 당구대에서 몇 번 연습해보신다면 쉽게 감을 잡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3. 당구 계산법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당구 각도 계산법은 파이브 앤 하프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이는 당구대의 각 모서리에 표시된 포인트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원리만 알면 간단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먼저 당구대의 모서리에 있는 포인트에 차례로 임의의 숫자를 부여합니다. 이후 수구가 세 번째에 부딪힐 쿠션의 포인트 숫자를 확인합니다. 확인이 끝났다면 현재 수구가 놓인 포인트 숫자에서 마지막에 부딪힐 쿠션의 포인트 숫자를 뺀 수로 수구를 쳐서 보내면 됩니다. 예시를 들어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수구가 50에 놓였고 마지막에 부딪힐 쿠션의 위치가 20일 경우 우리는 30번으로 수구를 쳐서 보내면 원하는 각도로 공이 들어오게 할 수 있습니다. 물론 해당 당구 계산법도 예외가 존재하지만 당구 초심자의 경우 해당 당구 계산법을 먼저 몸에 익힌 후 예외적인 부분은 경험을 통해 채워나가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마치며
뒤돌리기 3쿠션 강의입니다 한번 쯤 보시는것도 괜찮을 거같습니다^^
오늘은 당구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해당 당구 계산법을 안다고 해서 단번에 실력 향상이 보장되지는 않지만, 원리를 이해하고 차근차근 연습한다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역사가 깊은 만큼 여전히 많은 분들이 사랑하는 스포츠인 당구! 간단한 당구 계산법으로 재밌는 게임 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알고보니 블로그에도 구독과 공감 기능이 있더라구요!
아래에 구독하기와 ♡공감♡ 한 번씩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이게 바로 생활 지식 > 스포츠 - 나도 스포츠 아마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가링 사용법 효과 정리해드려요 (0) | 2021.07.11 |
---|---|
필라테스 효과 다이어트 정리해드려요 (0) | 2021.06.28 |
요가매트 고르는 법 두께 소재 정리했어요 (0) | 2021.06.28 |
근육량 늘리는 방법 정리 보고 운동하세요 (0) | 2021.06.08 |
볼링 스핀주는법 필승공략 (0) | 2021.04.22 |